원-달러 환율 이제 통화정책보다 펀더멘털 우선(하나증권)

#원·달러 환율#환율 전망 제2분기 말부터 1200원 중후반대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던 원·달러 환율이 다시 상승하고 있다.어떤 환경적 변화에 의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하나 증권에서 나온 리포트를 읽어 보자.(원문)위험 회피 무드가 조성되면 약할 원-달러 환율은 8월 들어 연일 환율이 진행되고 있다.유가 상승, 주택 가격 반등처럼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이는 요소들이 많아 추가 통화 긴축에 대한 경계 심리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선물 시장은 7월 FOMC이후 9월 금리 동결 확률을 꾸준히 80%이상 반영했기 때문에 내외 금리 차이에 따른 원화 약세 압력은 크지 않았던 것이다.최근 환율은 금융 시장의 위험 회피 분위기의 형성에 따른 결과를 보인다.무디스가 미국 중소형 은행 10곳의 신용 등급을 하향 조정했고 중국의 수출입 지표가 부진으로 발표되는 등 여러 악재가 이어질 안전 통화인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원-달러 환율 옵션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도 흐름이 전개되고 원화는 지난 달말비-3.1% 떨어졌다(8/10종가 기준).▲ 통화 정책의 파급 효과가 먼저 나타나는 유로존, 미국 달러의 방향 다시 탐색이 필요=유럽의 경기 펀더멘털이 취약했으며 하반기의 통화 정책 차별화에 따른 미국 달러 하락 폭은 예상보다 덜할 것 같다.유로존 물가는 에너지 가격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상승 압력이 약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근원 물가의 정상 도달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긴축적 통화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고용 호조와 임금 상승으로 서비스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그러나 이자 부담이 크게 되는 기업의 대출 및 설비 투자 수요가 위축되고 있어 대출 상환이 늘어나면서 가계 대출 규모도 축소되는 모습이다.역내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 대출은 2021년 제3분기의 고점(95.8%)이후 꾸준히 하락하고 2023년 제1분기 91.3%를 기록했다.일단 제조업 위주로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서비스업의 수요도 점차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통화 정책의 파급 효과가 나타났고 ECB는 추가 금리 인상에 부담을 느끼기 시작할 것.외환 시장은 외환 정책보다 펀더멘털에 좌우될 것이다.▲-달러 환율은 점진적인 하락 기대=각국 중앙 은행이 금리 인상을 중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외환 시장에 대한 통화 정책의 설명력은 점차 감소하고 미국 달러는 미국 경제의 점진적 둔화를 반영하고 약하게 제자리인 흐름을 기대한다.최근의 원화 가치 약세는 위안화 절상도 영향을 미쳤지만 중국 소비자 물가가 전년 대비 0.3%를 기록하는 디플레이션 우려 및 완화 정책 기대감이 부상하고 있지만, 중국 국유 은행의 위안화 인수, 경기 저점 인식 등으로 인민 원안는 진정하는 박스권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결국 원화도 고유 펀더멘털에 연동할 가능성이 높지만 하반기 한국 경제가 대외 부문을 중심으로 개선된 원화 강세를 지지하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한국의 6월 경상 수지는 58.7억달러로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6월 원 실질 실효 환율이 여전히 기준선(100을 밑돌았다 97.3P에 머물고 있으며 실질 실효 환율을 기반으로 추산한 적정 환율이 1,240원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달러-원-달러 환율은 연말까지 점진적인 하락세가 유효하다.원-달러 환율의 전망은 제3분기 1280원, 제4분기 1250원 수준으로 유지한다(분기 평균).

환율은 그 나라의 경제 상황을 반영하도록 되어 있다. 각국이 함께 어려움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누가 누가 어렵지 않느냐의 싸움인 듯하다.변수는 항상 있지만 이번에는 일본이라는 예측 불가능한 변수가 있어 향후 변동성에 주목해보자.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특히 한국은 환율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기본적으로 외국인 수급도 있지만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환율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앞으로의 전망을 주시해 보자.여러분 성공하시길…!

 

error: Content is protected !!